현재 위치
홈<출판사 서평>
머리말
투석환자와 함께한 대한투석혈관학회(KSDA)는 그동안 영상의학과, 신장내과, 혈관외과와 투석 간호사의 헌신과 노력에 많은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그중 학회 교육목적으로 제작된 KSDA series가 I권(Dialysis access), II권(Dialysis Technology)에 이어 III권(Cases series)을 발간하게 된 것을 대단한 기쁨으로 생각합니다. KSDA series는 투석에 종사하는 모든 분들이 쉽고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작은 지침서 역할을 하였습니다. 이번에 발간한 Cases series는 투석환자의 시술이나 처치 중 만날 수 있는 다양한 증례와 고도의 테크닉이 필요한 사례들로 이제 투석 환자 진료를 시작하는 전임의뿐만 아니라 모든 관련 의사 및 간호사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환자 진료및 처치에 좋은 길잡이가 되길 바라며 series 제작에 헌신하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뜻을 전합니다.
2023년 1월
대한투석혈관학회 회장 구동억
머리말
대한투석혈관학회(KSDA)는 신장내과, 혈관외과, 영상의학과, 투석간호사 및 관련 과학자가 함께 하는 학회이며, 학회 목적의 하나인 진료와 교육을 위해 KSDA series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KSDA series 1은 Dialysis access로 2020년 발간되었고, KSDA series 2는 Dialysis technology를 주제로 금번 발간됩니다. 투석에 관련된 전문기기와 기술에 대하여 14장으로 분류한 후, 각각 역사, 국내외 현황과 미래에 대해 신장내과, 혈관외과, 영상의학과와 인공신장실에서 관련분야를 분담하여 저술하였습니다. KSDA series가 전문의, 간호사, 전임의와 전공의에게 일선에서 진료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라며, 앞으로 보다 발전되는 KSDA series로 대한투석혈관학회 역시 도약하길 기원합니다.
2022년 1월
대한투석혈관학회 회장 권영주
The Korean Society of Dialysis Access (KSDA)
머리말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투석은 기본이자 필수적인 치료이면서
많은 환자들이 이와 관련한 합병증을 경험하게 되므로 적절한 관리, 예방 및 치료에 관련한 전문적인 지식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지침서는 신장내과, 혈관외과, 영상의학과, 인공신장실 등 혈액투석 실무와 관련된 의사, 간호사들이 공동으로 작업하여 2년여간 저술한 지침서입니다.
투석에 관련한 기본지식부터 혈관접근로와 복막투석관, 혈액투석용 카테터 등 투석접근로 수술 및 카테터 삽입술, 복막투석관 삽입술 등의 기본 술기,
투석접근로의 장기 합병증의 진단 및 치료에 이르는 구체적인 최신 지견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9년 KDOQI 혈관접근로 임상진료지침을 반영하였으며, 부록으로 개정판 요약을 수록하였습니다.
이 지침서를 통해 투석관련 업무의 전문지식을 높이고 국내 역학연구 및 부족한 근거에 대한 추후 연구에 밑바탕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2020년 4월
대한투석혈관학회 회장 권태원
<목차>
Dialysis Access Manual KSDA series1① 투석혈관매뉴얼
PART 1 총론
1. 국내 말기신부전 현황과 신대체요법
2. 혈관접근로의 종류
3. 해외 혈관접근로 지침 비교
PART 2 각론
4. 혈관접근로 수술 전 준비
5. 혈관접근로의 외과적 조성술
6. 혈관접근로의 성숙과 관리
7. 혈관접근로의 천자
8. 혈관접근로의 모니터링과 감시
9.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술 및 카테터 기능부전
10. 혈관접근로의 합병증
11. 복막투석 카테터 삽입술과 합병증
부록
KDOQI 혈관접근로 임상진료지침: 2019년 개정판 요약
Dialysis Technology Manual-KSDA series ➋ 투석기•투석액•정수시스템
집필진 ii
머리말 iii
약어/용어 정리 xii
투석 전문기기와 기술 1
I. 투석의 개요 1
확산 2
삼투 2
한외여과 3
대류 3
II. 투석적절도 3
혈액투석 4
복막투석 5
III. 투석처방 8
혈액투석 8
복막투석 9
IV. Evolution to Personalization 10
투석막과 투석기 12
I. 혈액투석막 12
혈액투석막의 성분과 구조 12
혈액투석막의 성능 16
II. 투석기 17
국내현황 17
급여 28
해외현황 28
혈액투석기 30
I. 혈액투석기의 역사 30
II. 혈액투석기의 구조 34
혈액투석기 사용에 대한 일반 지침 34
혈액회로 35
투석액 회로 38
전원장치 45
III. 온라인 혈액여과투석 46
HDF의 기본 원리 46
HDF의 구조 47
Online HDF의 적용 49
IV. Profilling 50
Sequential dialysis (isolated ultrafiltration + 50
isovolemic hemodialysis)
Ultrafiltration profiling 51
Sodium modeling 52
V. 투석 관련 모니터링 53
Online clearance monitoring (OCM) 53
Blood volume biofeedback system 54
Transmembrane pressure (TMP) feedback control 55
Blood temperature monitoring (BTM) 55
Therapy data management system (TDMS) 56
VI. 국내 현황: 국내 유통 제품 특징, 장단점 57
5008 혈액투석기 57
Artis Physio 혈액투석기 57
NCU-18 혈액투석기 57
MDS-101 혈액투석기 58
VII. 향후 전망: Wearable kidney 58
혈액투석액과 투석액 전달시스템 60
I. 투석액 60
혈액투석액의 목적과 조성 60
혈액투석액의 제조 61
혈액투석액의 국내외 현황 67
II. 투석액 전달시스템 67
혈액투석액 전달시스템의 종류와 국내외 현황 67
정수 시스템 70
I. 간단한 역사 70
II. 정수 시스템 71
전처리 시스템 72
역삼투압 정수기 76
후처리 시스템 78
분배 시스템 80
기타 82
III. 소독 83
IV. 수질검사 84
수질기준 84
V. 이동식 정수 시스템(중환자실이나 가정혈액투석을 위하여) 86
NxStage PureFlow SL DI 시스템 87
역삼투압 정수기를 이용한 이동식 정수 시스템 88
격리된 자동 열소독 장치 88
VI. 국내 및 세계 정수 시스템 회사의 상황 89
국내 정수 시스템 회사 89
외국 정수 시스템 회사 92
투석치료 관련 모니터링 97
I. 투석 관련 모니터링 98
투석 중 정맥압 모니터링 98
체성분분석기 98
Hemocontrol biofeedback system 100
II. 투석혈관접근로 모니터링 101
초음파 102
초음파희석법 103
체온모니터링법 105
혈액회로와 투석바늘 108
I. 혈액회로 108
혈액회로의 구조 108
회사별 국내유통 제품 111
향후 전망 115
II. 투석 바늘 115
바늘 선택의 고려 사항 116
현재 유통되어 사용 중인 제품 118
향후 전망 121
투석 접근로 I – 혈액투석 도관 122
I. 혈액투석과 혈관접근로 122
혈액투석 도관 122
투석 접근로 II – 인조혈관 133
I. 역사 133
II. 투석혈관에 사용되는 인조혈관 134
ePTFE 135
조기천자 인조혈관 136
우경동맥 인조혈관 137
HeRO 138
III. 국내현황 138
Impra™, Carboflo™, Venaflo II™ 139
LifeSpan™ 140
Advanta VXT ™ 141
IV. 향후 전망 142
투석 접근로 III – 혈관 중재술 146
I. 혈관확장술의 금기증 147
II. 혈관확장술의 방법 147
시술 전 검사 147
천자 148
중심정맥평가 150
혈전제거의 기계적 방법 151
혈관확장술 152
혈전제거를 위한 약물요법 153
Stent의 사용 154
약물방출기구 154
치료의 목표 155
합병증 155
통증의 관리 155
Mini-venotomy 156
Minimally invasive limited ligation endoluminal- 156
assisted revision (MILLER)
III. 향후 전망 156
복막투석 159
I. 카테터 및 투석백 시스템 159
II. 복막 투석액 162
III. 복막투석기계 163
IV. 국내 복막투석의 역사와 미래 164
가정혈액투석 168
I. 가정혈액투석 역사 168
II. 가정혈액투석의 현황 169
III. 가정혈액투석에서의 투석기기 169
단일 패스 시스템 171
저유량 시스템 172
IV. 가정혈액투석에서의 투석액 173
정수 시스템 174
V. 가정혈액투석에서의 투석바늘의 사용 176
지속적 신대체요법(CRRT) 178
I. 지속적 신대체요법의 역사 178
지속적 동정맥 혈액여과의 도입 178
지속적 정정맥 혈액투석여과의 도입 179
CRRT 장비의 발전 179
최적 적용에 대한 연구 180
II. CRRT 투석막과 흡착 180
CRRT에 쓰이는 투석막 180
흡착을 통한 혈액내 물질의 제거 182
투석막의 선택 183
향후 투석막의 발전 방향 184
III. 흡착제 기반 치료 185
CPFA 185
CytoSorbTM 185
Polymyxin-B 혈액여과 185
IV. CRRT 운용 방법 186
SCUF 186
CVVH 186
HVHF 187
CVVHD 187
CVVHDF 187
SLED 187
V. CRRT 장비 188
CRRT 장비의 발전 188
CRRT 장비의 특징과 차이점 189
VI. CRRT 용액 192
VII. CRRT 시작 시점 192
VIII. CRRT 용량 처방 시 고려사항 195
CRRT 용량 처방 195
실제 전달 용량 196
전희석 시 CRRT 용량 처방 197
여과율과 필터 후 적혈구 용적률 계산 198
여과율과 필터 후 적혈구 용적률을 고려한 CRRT 처방 199
적절한 CRRT 용량 199
IX. ECMO와 CRRT를 동시에 시행할 때의 주의점 201
별도의 도관 삽입을 통한 CRRT 201
ECMO 라인에 투석여과막만 연결 201
CRRT를 ECMO에 연결하여 시행 202
X. 국내 현황 204
XI. 해외 현황과 미래 206
소독 209
I. 세척, 멸균, 소독의 정의 209
세척 209
소독 209
멸균 210
II. 인공신장실에서 사용하는 소독제의 종류 210
글루탈 알데하이드 소독제 210
과초산 계열 소독제 211
포름알데하이드 212
염소계열 소독제 213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소독제 214
포비돈 215
알코올 217
4급 암모늄염 218
고온소독법 219
오존 소독법 219
III. 인공신장실에서의 1차 세척 및 소독 220
보호장구의 착용 220
기구의 특성 및 목적에 따른 분류 220
기구의 1차 세척 및 소독 시 준수사항 221
IV. 멸균 의뢰, 수령 및 멸균물품 관리 222
멸균 의뢰 222
멸균물품의 수령 222
인공신장실에서의 멸균물품 관리 222
인공신장실에서의 멸균물품 유효기간 관리 223
자체 멸균기 관리 및 유효기간 관리 223
V. 인공신장실 환경소독 223
환경소독의 일반적인 지침 223
환경 청소 방법 224
혈액 및 체액에 오염된 환경 224
VI. 손위생 226
손위생의 방법과 절차 226
손위생이 필요한 시점 226
손위생 방법 227
VII. 투석 과정 중 소독 방법 230
자가동정맥루·인조혈관 천자 시 소독 230
카테터 출구부 관리 230
카테터 연결 231
투석 종료 231
VIII. 투석기 관리 및 소독 232
혈액펌프 232
순환방법 232
투석기 소독 233
Index 235
Dialysis Access - Case series /KSDA series 3
집필진 머리말
약어/용어 정리
PART I 동정맥루 수술
CASE 1 기능부전 동정맥루의 우측 상완 두정맥을 이용한 정맥 재활용 2
CASE 2 대퇴정맥을 전완으로 전위하여 조성한 자가혈관 동정맥루 6
CASE 3 상완상완동정맥루에서 시행한 상완정맥 표재화 11
CASE 4 중심정맥 협착에 의한 부종이 있는 환자에게 시행한 요골두동정맥루의 유입 혈류 축소술 15
CASE 5 요골두동정맥루의 협착치료를 위한 동맥류 쐐기 절제술 및 자가정맥 패치 혈관확장술 19
CASE 6 DRIL 술식 23
CASE 7 요골두동정맥루의 표재정맥 폐색의 치료: 방법 I. 경피경혈관확장술 28
CASE 8 요골두동정맥루의 표재정맥 폐색의 치료: 방법 II. 도약 이식편 32
CASE 9 요골두동정맥루의 표재정맥 폐색의 치료: 방법 III. 정맥의 재건 수술 35
CASE 10 요골두동정맥루의 표재정맥 폐색의 치료: 방법 IV. 전완 기저정맥 전위 38
CASE 11 혈액투석을 위한 복벽 장골장골 동정맥 이식편 42
CASE 정상혈류를 가진 동정맥루의 도류증후군에 대한 유입 동맥 근위화 수술 47
CASE 고리형 요골두동정맥루 51
PART II 동정맥루 수술후 조기 합병증 및 관리
CASE 14 천자초 삽입부의 복주머니봉합 부위 감염증 58
CASE 15 허혈성 단지 신경병증 61
CASE 16 미성숙 자가동정맥루에서 풍선성숙유도 65
CASE 17 동정맥루의 저항성 협착에 대한 평행와이어 테크닉 69
PART III 성숙된 동정맥루의 기능부전 및 합병증: 감염
CASE 18 전신감염이 동반된 인조혈관 투석접근로의 치료: 인조혈관접근로 전제거술 76
CASE 19 패혈성 쇼크로 진행한 인조혈관접근로 감염 80
CASE 20 항생제 조기사용으로 호전된 인조혈관접근로 감염 84
PART IV 성숙된 동정맥루의 기능부전 및 합병증: 혈전
CASE 종양에 의한 완두정맥 혈전증 의증 90
CASE 혈전정맥염으로 발현한 항인지질항체증후군 93
CASE 고칼륨혈증에 의한 심장성 쇼크 후 발생한 혈관접근로 혈전증 97
CASE 하지절단측의 대퇴대퇴인조혈관접근로 조성 후 발생한 혈관 협착 104
PART V 성숙된 동정맥루의 기능부전 및 합병증: 도류
CASE 25 투석접근로에 의한 도류증후군 110
CASE 26 좌측 쇄골하동맥 협착에 의한 쇄골하동맥 도류증후군 115
PART VI 성숙된 동정맥루의 기능부전 및 합병증
CASE 27 침윤성 흉선종에 의한 중심정맥 폐색 120
CASE 28 인조혈관접근로 가성동맥류 124
CASE 29 고혈류량 자가동정맥루 128
PART VII 동정맥루의 영상의학적 치료
CASE 30 일반 스텐트가 설치된 인조혈관접근로의 혈전폐색에서 혈전제거술시 발생한 스텐트중첩성 폐색의 해결을 위한 스텐트그라프트 설치 134
CASE 31 좌측 쇄골하동맥 협착에 동반된 가성동맥류의 혈관 내 치료 139
CASE 32 경경정맥 접근을 통한 혈액투석로 혈관확장술 144
CASE 33 Chiba needle을 이용한 우측 중심정맥 폐색의 영상 유도하 재개통술 150
CASE 34 혈전에 의한 자가동정맥루 폐색환자에서 Cleaner device를 이용한 혈전제거술 156
CASE 35 Needling 실패 후 발생한 요골동맥의 가성동맥류의 혈관 내 치료 161
PART VIII 투석을 위한 중심정맥 카테터
CASE 36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의 이상위치로 발생한 편측성 혈흉 및 기흉 166
CASE 37 좌상대정맥존속 170
CASE 38 혈액투석 도관으로 인한 상대정맥 증후군 175
CASE 39 중심정맥 협착증 179
CASE 40 신장경유 혈액투석 도관의 삽입 183
CASE 41 퀸톤 카테터에 의한 중심정맥 파열로 인한 혈흉 188
CASE 42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 후 발생한 대퇴동정맥루의 혈관 내 치료 192
CASE 43 말초정맥 접근이 어려운 만성콩팥병 환자를 위한 변형 PICC 196
CASE 44 후방 삼각 접근을 통한 초음파 유도하 혈액투석 도관 삽입술 201
CASE 45 피브린 외막이 유발하는 중심정맥 협착 207
PART IX 복막투석
CASE 46 신세포암 수술 후 복막투석관 제거 1예 212
CASE 47 복막투석 환자에게 발생한 제대 탈장 및 투석액 누출 216
CASE 48 복막투석 환자에게 발생한 복막투석액의 흉강누출 219
CASE 49 복막투석 환자에서 복막염으로 오인한 충수돌기염 223
CASE 50 복막카테터 끝의 위치 이상 228
CASE 51 Tc-99m DTPA 스캔으로 진단한 흉막복막 누출 232
CASE 52 복막염과 복막투석 터널감염 235
Index
239
도서명 | KSDA Manual Series ①~③ SET | 저자, 역자 | 대한투석혈관학회 지음 |
---|---|---|---|
출판사 | 도서출판 대한의학 | 크기 | 150 x 220 mm (신국판) |
표지, 쪽수 | 페이퍼백 | 238쪽/242쪽/246쪽 | 제품구성 | 3권 세트 |
출간일 | 2023년 01월 14일 | 내용 및 목차 | 상품 정보 및 본문 기재 |
배송안내
- 배송비 : 기본배송료는 3,000원 입니다. (도서,산간,오지 일부지역은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40,000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입니다.
- 본 도서의 출고예정일은 3일 이내이며, 도착예정일은 4~5일 이내입니다.
- 출고예정일은 주문도서의 결제(입금)가 확인되는 날 기준으로 도서를 준비하여 포장 후 물류센터에서 택배사로 전달되는 예상일자입니다.
- 도착예정일은 출고예정일에서 택배사의 배송일(약 1~2일)이 더해진 날이며 연휴 및 토,일,공휴일을 제외한 영업일 기준입니다.
교환 및 반품안내
반품 및 교환 시 먼저 판매자와 연락 후 반품사유, 택배사, 배송비, 반품지 주소 등을 협의 후 반품상품을 발송해주시기 바랍니다.
판매자 지정택배사 |
로젠택배 |
||
반품배송비 |
편도 3,000원 (최초 배송비 무료인 경우 6,000원 부과) |
교환배송비 |
6,000원 |
보내실 곳 |
(우 : 10543)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청초로 66 (덕은동, 덕은리버워크 지식산업센터) A동 808호 반품 담당자 앞 |
환불안내
- 단순변심에 의한 교환/반품은 제품 수령 후 7일이내까지만 가능 (배송비용과 교환/반품비용 왕복배송비 고객부담)
- 비닐 제거 또는 개봉으로 상품 가치 훼손 시에는 상품 수령후 7일 이내라도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합니다.
- 이벤트 상품, 일부 특가 상품은 고객 변심에 의한 교환, 반품은 구매자가 배송비를 부담하셔야 합니다 (제품의 하자, 배송오류는 제외)
- 일부 상품은 개정판 출시, 제조 단가, 환율 변동 등 제조사 사정으로 가격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수입 도서의 경우, 고객의 단순 변심에 의한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 하오니, 양해 바랍니다.
- 상품의 내용이 표시·광고의 내용과 다른 경우에는 상품을 수령한 날부터 3개월 이내, 그 사실을 안 날 또는 알 수 있었던 날부터 30일 이내에 청약철회 가능
AS안내
- 소비자분쟁해결 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따라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 파본이나 낙장이 있는 책은 교환해 드립니다.
이미지 확대보기
KSDA Manual Series ①~③ SET _도서출판 대한의학

비밀번호 인증
글 작성시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확인장바구니 담기
상품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
찜 리스트 담기
상품이 찜 리스트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